자바스크립트 Promise 직접 만들어보자. Promise 너 나와!
Promise를 직접 만들어보자.
앞서 나는 Promise()에 대한 글을 2번 정도 게시했다.
위 글을 쓰고 나서 몇 달이 지난 현재, Promise의 내부는 어떻게 동작하고, 어떻게 구성이 되어있는지 궁금했다. 아티클을 읽던 와중에 푸만능님의 JavaScript Promise 객체 직접 구현해보기를 알게 되어서, 위 내용을 실습해보며 내가 새롭게 알게 된 내용들에 대해 공부해보려한다.
Promise를 어떻게 만들어볼까?
Promise를 만들기 전에, Promise에 대해 이해해보기 위해, 기능 구현 목록을 작성해보자
우선 Promise는 실행 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Pending(실행 전), fulfilled(실행 후 성공 => resolve), rejected(실행 후 실패 => rejected)이 필요하다.
그리고 Promise는 JS 이벤트 루프에서 Microtask Queue에서 비동기적으로 동작한다. 또한 then, catch, finally이라는 후속처리 메서드 체이닝이 필요하다.
🤔 메서드 체이닝(Method Chaining)이란?
연속적인 코드 줄에서 개체의 Method를 반복적으로 호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Method가 객체를 반환하면 그 반환 값(객체)
아래 함수를 Method Chaining을 이용하면
store.enter(2).leave(1).enter(2)
로 구현할 수 있다.const store = { name: 'see you', opacity: 30, peopleCount: 0, enter(n) { this.peopleCount += n; }, leave(n) { this.peopleCount -= n; }, };
물론 Promise를 위한 정적 메서드인 race(), all()등 다양한 함수등이 있지만 그런 것들은 추후에 공부해보자.
만들어보자.
본격적으로 Promise를 만들어보자. Promise를 구현해보면서 “이게 왜 이렇게 동작하지?”, “이 개념은 뭐지?” 등 필요한 내용에 대해 차근차근 기록을 남기며 Promise를 만들어보겠다!
모든 것은 Github의 새로운 Repository와 함께한다. 레포를 통해 확인해봐도 좋다. 이름은 Mentoring 4주차 - PurePromise
간단하게 Promise를 만들어보자
class MyPromise {
#value = null;
constructor(executor) {
executor((value) => {
this.#value = value;
});
}
then(callback) {
callback(this.#value);
return this;
}
}
function testMyPromise() {
return new MyPromise((resolve) => {
resolve('my resolve');
});
}
testMyPromise().then((value) => console.log(value));
// my resolve
위 코드에서 신경써서 봐야 할 것은 3가지다.
- #value = null 을 통해 #value라는 프라이빗 변수를 null로 초기값을 설정했다.
- 생성자 함수는 executor라는 함수를 매개변수로 받는다.
- then 메서드는 콜백 함수를 매개변수로 받는다.
하지만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 현재 만들어진 MyPromise 함수는 비동기 처리가 안되어있다. 또한 에러처리를 위한 catch문이 없고, 상태를 다루는 코드도 작성되어 있지 않다.
다음 섹션에서 에러처리에 대한 코드를 추가해보자.
then, catch, resolve, reject 함수를 추가해보자
class MyPromise {
#value = null;
constructor(executor) {
this.#value = null;
try {
executor(this.#resolve.bind(this), this.#reject.bind(this));
} catch (error) {
this.#reject(error);
}
}
#resolve(value) {
this.#value = value;
}
#reject(error) {
this.#value = error;
}
then(callback) {
callback(this.#value);
return this;
}
catch(callback) {
callback(this.#value);
return this;
}
}
function testMyPromise() {
return new MyPromise((resolve) => {
resolve('my resolve');
});
}
testMyPromise().then((value) => console.log(value)); // my resolve
resolve, reject, then, catch를 구현해서 메서드 체이닝이 일어날 수 있도록 했다.
위 코드에서 궁금한 점은 executor 내부에 bind 메서드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현재 bind 메서드를 사용했기 때문에 this는 항상 MyPromise 인스턴스를 가리킨다. 사용하지 않으면 resolve, reject 메서드를 호출할 때 this가 바뀔 수 있고, 특히 콜백함수에서 차이가 크게 날 수 있기 때문에 bind 메서드로 강제로 특정 객체를 지정하도록 해야 한다.
function testMyPromise(input) {
return new MyPromise((resolve, reject) => {
if (input === 1) {
resolve('정상적입니다');
}
reject('입력값이 1이 아닙니다');
});
}
testMyPromise(1)
.then((value) => console.log(value))
.catch((error) => console.log(error));
// 입력값이 1이 아닙니다
// 입력값이 1이 아닙니다
위 코드를 추가해서 실행해보면 then구문과 catch구문 모두 실행된다. 그리고 비동기, 상태 관리 메서드 생성, Error Handling이 부족하다. 다음 세션에서 상태를 추가해 코드를 더 보완해보자.
Promise 상태를 추가해 동작 구현해보자.
const PROMISES_STATE = Object.freeze({
pending: 'PENDING',
fulfilled: 'fulfilled',
rejected: 'rejected',
});
class MyPromise {
#value = null;
#state = PROMISES_STATE.PENDING;
constructor(executor) {
try {
executor(this.#resolve.bind(this), this.#reject.bind(this));
} catch (error) {
this.#reject(error);
}
}
#resolve(value) {
this.#state = PROMISES_STATE.fulfilled;
this.#value = value;
}
#reject(error) {
this.#state = PROMISES_STATE.rejected;
this.#value = error;
}
then(callback) {
if (this.#state === PROMISES_STATE.fulfilled) {
callback(this.#value);
}
return this;
}
catch(callback) {
if (this.#state === PROMISES_STATE.rejected) {
callback(this.#value);
}
return this;
}
}
function myPromiseFn2(input) {
return new MyPromise((resolve, reject) => {
if (input === 1) {
resolve('성공');
} else {
reject('실패');
}
});
}
myPromiseFn2(1)
.then((v) => {
console.log(v);
return '체이닝 확인';
})
.then((v) => console.log(v))
.catch((v) => console.log(v));
위 코드에서 Object.freeze를 이용해 객체를 동결했다. 이로서 객체 속성 추가,삭제,변경이 불가능해져서, 객체가 항상 일정한 상태 값을 갖도록 보장한다.
코드를 실행해보면 resolve를 통해 then으로 이동하게 되어 ‘성공’이 출력되고, ‘체이닝 확인’이 출력될 것 같지만, ‘성공’이 두번 출력이 된다. 이것은 then 함수에 리턴값이 변경되지 않았기때문이다.
then(callback) {
if (this.#state === PROMISES_STATE.fulfilled) {
return new MyPromise((resolve) => resolve(callback(this.#value)));
}
}
then, catch 메소드를 위처럼 변경해 My Promise 객체 인스턴스를 then 메서드의 리턴값으로 설정해 프로미스 체이닝이 가능하도록 구현했다.
비동기 구현(then 함수만)
function myPromiseFn2(input) {
return new MyPromise((resolve, reject) => {
setTimeout(() => {
resolve(`이것은 ${input}초뒤에 실행됩니다.`);
}, 3000);
});
}
myPromise 내부에 setTimeout을 이용해서 코드를 실행해보면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한다. myPromiseFn2()를 실행시키면 3초 뒤에 resolve함수가 실행됨으로 then에 대한 리턴값이 undefined가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비동기를 구현하려면 어떻게 해야될까?
우리는 Promise를 사용할 때 pending 상태를 두어 대기(비동기)를 하고, fulfilled 상태로 변경이 되면 동기가 된다. 위 내용을 코드에 적용해보자
class MyPromise {
#state = PROMISES_STATE.pending;
#value = null;
#lastCallBacks = [];
constructor(executor) {
try {
executor(this.#resolve.bind(this), this.#reject.bind(this));
} catch (error) {
this.#reject(error);
}
}
#resolve(value) {
this.#state = PROMISES_STATE.fulfilled;
this.#value = value;
this.#lastCallBacks.forEach((lastcall) => lastcall());
}
#reject(error) {
this.#state = PROMISES_STATE.rejected;
this.#value = error;
this.#lastCallBacks.forEach((lastcall) => lastcall());
}
#asyncResolve(callback) {
if (this.#state === PROMISES_STATE.pending) {
return new MyPromise((resolve) => this.#lastCallBacks.push(() => resolve(callback(this.#value))));
}
return null;
}
#syncResolve(callback) {
if (this.#state === PROMISES_STATE.fulfilled) {
return new MyPromise((resolve) => resolve(callback(this.#value)));
}
return null;
}
then(callback) {
return this.#asyncResolve(callback) || this.#syncResolve(callback);
}
catch(callback) {
if (this.state === PROMISES_STATE.rejected) {
callback(this.#value);
}
return this;
}
}
asyncResolve 메서드는 상태가 pending일 때 호출되어, 새로운 MyPromise 인스턴스를 반환하고, 콜백을 lastCallBacks 배열에 저장한다. 또한 syncResolve 메서드는 상태가 fulfilled일 때 호출되어, 새로운 MyPromise 인스턴스를 반환하고, 즉시 콜백을 실행한다.
이후에 then 메서드를 통해 asyncResolve를 호출하여 비동기 처리를 시도하고, 실패하면 syncResolve를 호출하여 동기 처리를 시도한다. (위 코드는 클로저와 스코프의 개념을 적용해서 공부해보면 좋다.)
위 코드를 실행해보면 3초 뒤에 실행이 되고, 체이닝 메서드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icroTask Queue를 적용해보자
MicroTask Queue를 만들기 위해서는 MacroTask Queue와 차이점, 그리고 콜스택 실행 순서에 대해 알고 있어야한다.
해당 내용을 숙지하고 아래 코드를 작성해보길 바란다.
function myPromiseFn2() {
return new MyPromise((resolve, reject) => {
resolve('Promise 실행');
});
}
const test = () => {
console.log('첫번째 콜스택 실행');
setTimeout(() => console.log('태스크 큐 실행'), 0);
myPromiseFn2().then((result) => console.log(result));
console.log('두번째 콜스택 실행');
};
test();
예상되는 정답은 첫 번째 콜스택 실행 => 두 번째 실행 => Promise 실행 => Task Queue 실행 이지만 실제 결과는 예상과 다르게 아래처럼 실행된다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MDN-MicroTask Queue을 이용해 코드를 수정해보면 예상하는 것 처럼 코드가 잘 동작 된다.
catch 함수를 구현해보자
class MyPromise {
#state = PROMISES_STATE.pending;
#value = null;
#catchCallbacks = [];
#thenCallbacks = [];
constructor(executor) {
try {
executor(this.#resolve.bind(this), this.#reject.bind(this));
} catch (error) {
this.#reject(error);
}
}
#runCallbacks() {
if (this.#state === PROMISES_STATE.fulfilled) {
this.#thenCallbacks.forEach((callback) => callback(this.#value));
this.#thenCallbacks = [];
}
if (this.#state === PROMISES_STATE.rejected) {
this.#catchCallbacks.forEach((callback) => callback(this.#value));
this.#catchCallbacks = [];
}
}
#update(state, value) {
queueMicrotask(() => {
this.#state = state;
this.#value = value;
this.#runCallbacks();
});
}
#resolve(value) {
this.#update(PROMISES_STATE.fulfilled, value);
}
#reject(error) {
this.#update(PROMISES_STATE.rejected, error);
}
then(thenCallback, catchCallback) {
return new MyPromise((resolve, reject) => {
this.#thenCallbacks.push((value) => {
if (!thenCallback) {
resolve(value);
return;
}
try {
resolve(thenCallback(value));
} catch (error) {
reject(error);
}
});
this.#catchCallbacks.push((value) => {
if (!catchCallback) {
reject(value);
return;
}
try {
resolve(catchCallback(value));
} catch (error) {
reject(error);
}
});
});
}
catch(catchCallback) {
return this.then(undefined, catchCallback);
}
}
then 메서드는 thenCallback과 catchCallback을 받아 새로운 MyPromise를 반환한다.
thenCallbacks 배열에 thenCallback을 래핑한 콜백을 추가하는데, 이 콜백은 thenCallback이 없으면 resolve를 호출하고, 예외가 발생하면 reject를 호출한다.
catchCallbacks 배열에 catchCallback을 래핑한 콜백을 추가하는데, 이 콜백은 catchCallback이 없으면 reject를 호출하고, 예외가 발생하면 reject를 호출한다.
catch 메서드는 동작 이후에 메서드 체이닝이 가능하도록 구현했다.
function myPromiseFn2(input) {
return new MyPromise((resolve, reject) => {
if (input === 1) {
resolve('성공');
} else {
reject('실패');
}
});
}
myPromiseFn2(2)
.then((v) => {
console.log(v);
return v;
})
.catch((v) => {
console.log(v);
return '오류 발생!!!';
})
.then((v) => console.log(v));
위 예시코드를 실행해보면 실패 => 오류 발생!!! 이 출력된다.
finally 만들어보기
Settled는 Promise가 이행되거나 거부된 상태를 포괄적으로 표현하는 단어로, Promise가 더 이상 pending 상태가 아닌 상태를 말한다.
finally 메서드를 구현하기 위해 fulfilled, rejected 상태일 때 동작하도록 아래 코드를 추가해보자.
finally(callback) {
return this.then(
(value) => {
callback();
return value;
},
(value) => {
callback();
throw value;
}
);
}
추가적인 예외처리 기능 구현
then(callback)의 callback 함수 내부에서 새로운 Promise를 만들어 return 하는 코드를 아래처럼 만들어 실행해보자. 예상하는 결과 값은 첫번째 Promise => 두 번째 Promise이다
new MyPromise((resolve, reject) => {
setTimeout(() => {
resolve('첫 번째 Promise');
}, 1000);
})
.then((res) => {
console.log(res);
return new MyPromise((resolve, reject) => {
setTimeout(() => {
resolve('두 번째 Promise');
}, 1000);
});
})
.then((res) => {
console.log(res);
});
하지만 결과 값은 두 번째 Promise가 아닌 MyPromise 객체가 출력되었다.
이것을 예상하는 것처럼 출력시키기 위해서는 #update 내부에 지연 실행을 추가해줘야한다.
#update(state, value) {
queueMicrotask(() => {
if (this.#state !== PROMISES_STATE.pending) return;
if (value instanceof MyPromise) {
value.then(this.#resolve.bind(this), this.#reject.bind(this));
return;
}
this.#state = state;
this.#value = value;
this.#runCallbacks();
});
}
타입스크립트로 변환해보자.
타입스크립트로 변환하며 state를 별도의 utils로 분리하였다.
import PROMISES_STATE from './utils/state';
type Executor<T> = (resolve: (value: T | MyPromise<T>) => void, reject: (reason?: unknown) => void) => void;
class MyPromise<T = unknown> {
#state: string = PROMISES_STATE.pending;
#value: T | null = null;
#catchCallbacks: ((reason?: unknown) => void)[] = [];
#thenCallbacks: ((value: T) => void)[] = [];
constructor(executor: Executor<T>) {
try {
executor(this.#resolve.bind(this), this.#reject.bind(this));
} catch (error) {
this.#reject(error);
}
}
#runCallbacks(): void {
if (this.#state === PROMISES_STATE.fulfilled) {
this.#thenCallbacks.forEach((callback) => callback(this.#value as T));
this.#thenCallbacks = [];
}
if (this.#state === PROMISES_STATE.rejected) {
this.#catchCallbacks.forEach((callback) => callback(this.#value));
this.#catchCallbacks = [];
}
}
#update(state: string, value: T | MyPromise<T> | unknown): void {
queueMicrotask(() => {
if (this.#state !== PROMISES_STATE.pending) return;
if (value instanceof MyPromise) {
value.then(this.#resolve.bind(this), this.#reject.bind(this));
return;
}
this.#state = state;
this.#value = value as T;
this.#runCallbacks();
});
}
#resolve(value: T | MyPromise<T>): void {
this.#update(PROMISES_STATE.fulfilled, value);
}
#reject(error: unknown): void {
this.#update(PROMISES_STATE.rejected, error);
}
then<TResult = T>(
thenCallback?: (value: T) => TResult | MyPromise<TResult>,
catchCallback?: (reason?: unknown) => TResult | MyPromise<TResult>,
): MyPromise<TResult> {
return new MyPromise<TResult>((resolve, reject) => {
this.#thenCallbacks.push((value: T) => {
if (!thenCallback) {
resolve(value as unknown as TResult);
return;
}
try {
resolve(thenCallback(value));
} catch (error) {
reject(error);
}
});
this.#catchCallbacks.push((value) => {
if (!catchCallback) {
reject(value);
return;
}
try {
resolve(catchCallback(value));
} catch (error) {
reject(error);
}
});
});
}
catch<TResult = T>(catchCallback?: (reason?: unknown) => TResult | MyPromise<TResult>): MyPromise<TResult> {
return this.then(undefined, catchCallback);
}
finally(callback: () => void): MyPromise<T> {
return this.then(
(value) => {
callback();
return value;
},
(value) => {
callback();
throw value;
},
);
}
}
error가 발생해 catch를 할 때 타입을 어떻게 잡을지 난감해 unknown과 제네릭을 이용해 폭넓게 설정해두었다. 추후 해당하는 작업은 리팩토링을 진행해볼 예정이다.
jest를 이용해서 단위테스트를 해보자.
describe('MyPromise', () => {
test('resolve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테스트', (done) => {
new MyPromise((resolve) => {
setTimeout(() => resolve('resolved value'), 100);
}).then((value) => {
expect(value).toBe('resolved value');
done();
});
});
test('rejects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테스트', (done) => {
new MyPromise((resolve, reject) => {
setTimeout(() => reject('rejected value'), 100);
}).catch((value) => {
expect(value).toBe('rejected value');
done();
});
});
test('Method Chain을 이용해 then 구문이 정확히 동작하는지 테스트', (done) => {
new MyPromise((resolve) => {
setTimeout(() => resolve('first value'), 100);
})
.then((value) => {
expect(value).toBe('first value');
return 'second value';
})
.then((value) => {
expect(value).toBe('second value');
done();
});
});
test('Method Chain을 이용해 catch 구문이 정확히 동작하는지 테스트', (done) => {
new MyPromise((resolve, reject) => {
setTimeout(() => reject('first error'), 100);
})
.catch((value) => {
expect(value).toBe('first error');
throw 'second error';
})
.catch((value) => {
expect(value).toBe('second error');
done();
});
});
test('finally가 then 뒤에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테스트', (done) => {
let finallyCalled = false;
new MyPromise((resolve) => {
setTimeout(() => resolve('resolved value'), 100);
})
.then((value) => {
expect(value).toBe('resolved value');
})
.finally(() => {
finallyCalled = true;
});
setTimeout(() => {
expect(finallyCalled).toBe(true);
done();
}, 200);
});
test('finally가 catch 뒤에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테스트', (done) => {
let finallyCalled = false;
new MyPromise((resolve, reject) => {
setTimeout(() => reject('rejected value'), 100);
})
.catch((value) => {
expect(value).toBe('rejected value');
})
.finally(() => {
finallyCalled = true;
});
setTimeout(() => {
expect(finallyCalled).toBe(true);
done();
}, 200);
});
});
으아 험난했다..
아주 험난한 길이었다.. 사실 모든 것이 완벽하게 이해가 된 것은 아니다. 클로저, 스코프, 재귀적 알고리즘 등 내가 부족한 부분의 지식들을 응용해서 적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번 Promise를 구현해보며 혼자서는 힘들었지만, 좋은 교보재 덕분에 만들어볼 수 있었다. 위 내용을 열심히 복습하고 필요한 공부자료를 추가해보도록 해야겠다!!
다시 한번 좋은 자료를 만들어주신, 황준승님께 감사하다는 말을 전달한다.